[Network] OSI 7계층과 예시
왜 OSI 7계층을 알아야 하는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프레임워크입니다. 단순히 이론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라우터, 스위치, 서버, 그리고 AWS, GCP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모두 이 모델 위에서 동작합니다.
OSI 모델을 이해하면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을 때 어느 계층의 문제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각 구성 요소의 역할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보안 정책을 수립할 때 어느 계층에서 방어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OSI 7계층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각 계층에 어떤 처리 기기나 클라우드가 사용되는 지 예시까지 알아보겠습니다.
OSI 7계층 개요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개의 논리적 계층으로 나눈 표준 모델입니다. 각 계층은 특정한 역할을 담당하며,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물론 최근에는 TCP/IP 5계층 혹은 4계층을 더 적합한 모델로 보고있습니다.
계층
이름
주요 역할
관련 키워드
7
Application (응용 계층)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
HTTP, FTP, DNS
6
Presentation (표현 계층)
데이터 형식 변환 및 암호화
SSL/TLS, JPEG, 인코딩
5
Session (세션 계층)
연결 세션 관리
세션 유지, 동기화
4
Transport (전송 계층)
전송 제어, 신뢰성 보장
TCP, UDP, 포트
3
Network (네트워크 계층)
경로 선택, 주소 지정
IP, 라우팅
2
Data Link ...